제가 그 예능 한번 기획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예능'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아마 대부분 즐겨 보는 TV 예능 프로그램이나 재미있는 SNS 콘텐츠를 생각하실 거 같습니다. 사실 리얼 버라이어티, 오락 프로그램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국내 예능 콘텐츠의 역사는 꽤 오래됐죠.👀 국민 예능 프로그램으로 아직까지 각종 밈*과 다시 보기 영상으로 회자되고 있는 <무한도전>✨의 첫 방송이 2006년이었습니다.
|
|
|
* meme, 비유전적 문화요소 또는 문화의 전달 단위로 흔히 인터넷을 통해 퍼지는 각종 창작물을 의미함 |
|
|
<무한도전>처럼 공중파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이제 예능은 웹, OTT, 유튜브까지 다양한 플랫폼에서 파격적인 포맷을 선보이고 있죠. 그리고 그 무대를 세계로 넓히고 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동남아시아, 중동, 중국 등 여러 나라에 예능 포맷을 수출하였고, MBC의 <복면가왕>👑은 지난 2019년 미국에서 <마스크드 싱어>로 리메이크되어 전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 중 7년 만에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습니다.** <피의 게임>, <환승연애>, <좀비버스>🧟 등 국내외 OTT 플랫폼에서의 활약도 대단하죠.
|
|
|
그렇다면 이렇게 재밌게 보기만 했던 예능 프로그램📺이 어떤 사람의 손을 거쳐 만들어지고 또 세계적인 포맷으로 탄생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이번 주에는 K-예능 프로그램의 기획과 제작에 대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만나보시죠!
|
|
|
Q1.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대본에는 어떤 내용이 있나요?
|
|
|
예능 작가를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인데요. 최근에 제가 제작에 참여한 <하트시그널>*이라는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에피소드를 짜고 찍는지 혹은 출연자인 두 사람이 만나는 장면이 과연 실화인지 등을 정말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데요. 이 프로그램의 대본에는 '룰'과 '타임테이블' 밖에 없습니다.
<하트시그널>의 작가들이 하는 일은 사전에 출연자를 선정하고, 그들이 자연스럽게 행동할 수 있는 규칙을 만들고 일정을 관리하는 것이었죠. 출연자들이 30일간 지정된 숙소에서 머물렀기 때문에 매일 어떤 일을 하고 일정에 맞춰 데이트를 할 수 있는지를 체크할 뿐 그 외의 것은 대본에 없었습니다.
|
|
|
* 청춘 남녀들의 연애를 관찰하고 분석하며 최종 커플을 추리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
|
|
Q2. 성공한 예능 프로그램의 공통점이 있을까요?
|
|
|
소위 대박을 터뜨린 예능 프로그램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요. 먼저, 말이 되는 기획 의도와 한 줄로 설명되는 로그 라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출연자들끼리 제어할 수 있는 장치도 완성도 높은 예능의 필수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죠.
그러나 이 모든 조건을 완벽히 갖추기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특히, 기획 의도가 말이 되지 않으면 도중에 길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죠. 그리고 이런 조건들에 더해서 최근에는 포맷이 굉장히 중요해졌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든, 또 어떤 출연자가 나오든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규칙을 만드는 것도 중요합니다.
|
|
|
* 이야기의 방향을 설명하는 한 문장 혹은 한 문장으로 요약된 줄거리 |
|
|
Q3. 예능 프로그램 기획 노하우를 알려주세요!
|
|
|
예능 작가라는 직무에 있어서 물론 대본도 중요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건 '기획'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소재', '아이템', '포맷' 이 3가지를 염두에 둬야 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할까'인 것이죠.
방송 제작 환경이 변화하면서 '포맷'이 특히 중요해졌습니다. 기획안이 포맷이 되기 위해서는 '아이템들 사이의 조화(트위스트)', '유니크한 셀링 포인트*' 그리고 '시각화'가 필요한데요. 여기서 시각화란, 특화된 영상 표현방식이 있는지를 의미하며 나아가 프로그램 표절 시비를 가릴 때 주요한 쟁점이 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프로그램 기획을 하나의 포맷으로 만드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좋은 포맷과 프로그램을 위해 늘 기획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게, 특히 예능 작가들한테는 가장 필요하고 필수적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능 작가를 꿈꾸고 계시다면, '재미와 의미', '익숙함과 새로움' 사이의 황금비율을 어떻게 찾아낼까를 항상 고민하면서 기획을 시도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
|
|
* 사용 편의나 만족감 등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일으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징 |
|
|
오늘의 가이드! 28년 차 베테랑 방송작가이자 <한끼줍쇼>, <하트시그널>, <슈가맨> 등 다양한 히트작을 집필한 신여진 작가가 들려주는 현장감 200%의 예능 작가 실무 노하우, 어떠셨나요?😉
|
|
|
예능 프로그램 기획과 제작에 관심 있는 사람들 모두 주목!📢
방송 제작 기법부터 현업 작가가 들려주는 생생한 현장 이야기까지,
|
|
|
작가의 아이디어💡를 시작으로 수없이 많은 스태프와 출연진들의 의견이 더해져 완성되는 예능 프로그램! 최근에는 국내 예능 포맷이 해외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세계로 쭉쭉 뻗어나가는 예능 포맷 기획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에듀코카 '바로 수강' 과정 <글로벌향 포맷 기획>✨을 통해 함께 확인해 보시죠.😀 |
|
|
이미 방영되고 있어 목적이 뚜렷한 '국내용' 프로그램과 달리 '글로벌향'은 제작 전 기획안(페이퍼 포맷) 단계입니다. 제작하면서 기획을 병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시작 단계에서부터 많은 요소를 염두에 두어야 완성도를 높일 수 있죠. |
|
|
글로벌향 포맷의 경우, '시즌 판매량'에 주안점을 둡니다. 한 시즌도 15회 내외로 구성하며, 해당 시즌이 성공을 하게 되면 다음 시즌의 재구매가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죠. 시즌이 거듭될수록 포맷을 가치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
|
|
📌 Chap3. 글로벌향 포맷의 피칭(Pitching) |
|
|
글로벌향 포맷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투자자나 제작자를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PPT와 같은 디지털 파일의 형태나 티저 영상 등으로 설명을 하게 되죠. 유튜브와 같이 공개적인 채널에 영상을 올려 홍보할 수도 있습니다. |
|
|
해외로 뻗어나가는 고퀄리티 예능 포맷 기획의 모든 것💡
|
|
|
애정하는 새싹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길고도 짧은 추석 연휴, 잘 보내셨나요?
보름달처럼 풍성한 콘텐츠로 꽉꽉 채워 본 이번주 콩!🙆♀️은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
|
|
그리고 10월부터는 에듀코카 홈페이지에서 신규 테마과정✨을 오픈하여 여러분이 원하는 콘텐츠를 주제별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제 매월 새로운 테마를 소개해 드릴 예정이니, 에듀코카 테마과정 한 번씩 보시길 강력⚡ 추천하면서 저는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다음 주에 만나요~ 제발~🙏 |
|
|
"이거 완전 내 이야기인데?"😮
싶은 현직+예비 작가, PD님들 주목!📢
나만의 콘텐츠 만들기 노하우💡 대/공/개 |
|
|
Copyrightⓒ 에듀코카 All rights reserved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