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 자극+몰입감+현실감까지!? 새싹이🌱님께서는 '실감 콘텐츠'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국내외에 '실감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①인간의 오감🖐을 자극해 ②몰입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기반한 ③융합 콘텐츠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활용되는 기술에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홀로현실(HR) 등이 있는데요.* |
|
|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 실감 영상관의 실감 콘텐츠 © National Museum of Korea
|
|
|
그리고 이런 실감 콘텐츠와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콘텐츠 산업 분야 중 하나가 바로 '공연'🎭입니다.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과 맞물려 디지털 영상 기술🎥이 발전하였고 K-팝 문화🎵도 퍼져나가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다양한 실감형 공연을 선보였는데요.* 소프라노 조수미의 홀로그램 콘서트🎤, 온라인 K-팝 공연✨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
ⓒYoutube "Sumi Jo Official l 조수미 l" 채널
|
|
|
직접 관람하기 어려운 공연이나 쉽게 보기 어려운 아티스트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체험하고 만날 수 있다는 것이 실감형 공연의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문화 체험의 폭을 넓혀주는 '실감형 공연'이란 무엇이고, 또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을 활용해서 만드는 걸까요? 이번 주에는 실감형 공연의 기획과 기술에 대한 이야기를 만나보시죠!😉
|
|
|
Q1. '실감형 공연' 기술, 어떻게 발전했나요?
|
|
|
지난 몇 해 동안 대면 행사가 취소되고 비대면으로 전환되면서, 실감형 공연 기술이 더욱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때를 기점으로 새싹이🌱님께서도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PC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해 실시간 공연을 감상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콘서트', '무관객 쇼케이스', '랜선 팬미팅' 등이 매우 활성화되었죠.
대표적인 예로, 2020년에 SM엔터테인먼트와 네이버가 합작하여 세계 최초로 유료 온라인 콘서트 전용 플랫폼인 ‘비욘드 라이브’를 선보였습니다. 이 플랫폼은 ①다각적인 카메라 워킹과 실시간 3D 그래픽, ②AR 증강현실 기반의 무대효과를 선보였습니다. 또한, ③200명이 동시에 접속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소통으로 온라인에서도 현장 공연감을 전달하여 언택트 실감형 공연의 롤 모델로 급부상하였는데요. 이를 통해, 슈퍼주니어, NCT127, 트와이스 등 유명 아티스트의 콘서트를 진행하여 전 세계 약 75,000명의 관객을 동원한 바 있습니다. |
|
|
* '상호간'의 뜻을 지닌 인터(Inter-)와 '활동적'의 뜻을 지닌 액티브(Active)의 합성어로 '쌍방향'이라는 의미 |
|
|
Q2. 실감형 공연 사례에 대해 더 알려주세요!
|
|
|
실감형 공연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아바 보이지(Abba Voyage)〉 콘서트를 들 수 있습니다. 가수 아바(ABBA)의 모습을 3D로 스캔한 뒤, 생성된 아바타가 대신 공연을 하는 형태인데요. 멤버들이 직접 목소리를 녹음하고, 모션 캡처*를 하여 현재 일흔이 넘은 멤버들이 젊은 모습으로 공연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 새싹이🌱님께서도 많이 접해보셨을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의 챔피언십 오프닝 공연도 실감형 공연 사례인데요. 실제 가수와 게임의 캐릭터로 만들어진 버추얼 그룹, "K/DA"가 같이 공연했습니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오프라인 공연으로, 게임 속 캐릭터가 오프라인에서 공연할 수 있게 기획하여 굉장한 주목을 받았던 콘텐츠입니다.
이 두 공연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볼류메트릭(Volumetric) 퍼포먼스 캡처 기술 덕분이었습니다. 이는 대상을 실시간으로 3차원 입체로 캡처하는 기술인데요. ①고해상도로 캡처할 수 있으며 ②조명을 통해 어떤 환경에 캐릭터를 넣어도 마치 현장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
|
|
* 사람, 기계 등에 센서를 달아 그 대상의 움직임 정보를 인식하여 영상 등으로 재현하는 디지털 기술 |
|
|
Q3. '실감형 공연 기술'의 전망은 어떨까요?
|
|
|
'실감형 공연 기술'은 다양한 콘텐츠 산업과 영역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스포츠 중계에 적용된 사례를 보면, 축구의 장면을 3차원으로 캡처해서 어느 각도에서든 다시 리플레이 할 수 있는데요. "프리 D"라고 하는 이 기술의 요소가 실감형 공연 기술 중 하나인 3D 지오메트리입니다. 또한, 영화를 제작할 때 실제 배경이 되는 공간에 가거나 많은 군중을 동원하지 않고도 볼류메트릭 캡처 기술을 통해 거대한 전장 속 전투 장면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실감형 공연 기술'은 시간, 공간, 그리고 비용까지 한꺼번에 절약하면서 실감 나는 영상 등을 만들 수 있는 콘텐츠 개발 기술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술과 콘텐츠의 발전과 결합이 더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볼 수 있죠. 지금까지 말씀드린 기술 외에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된 실감형 공연 사례도 꼭 강의를 통해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
오늘의 가이드, VR/AR부터 VFX, 홀로그램까지? 자타공인 컴퓨터 그래픽 전문가! 세종대학교 강윤극 교수가 들려주는 신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공연 기획 및 제작 방법! 어떠셨나요?😉
|
|
|
<On The Move>, <XR STAGE>, <Disguise>의 공통점?🤔
국내외 공연 우수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실감형 공연과 신기술,
에듀코카 음악/공연 분야 '로그인 후 수강' 과정
|
|
|
지난 2022년, NC소프트사가 AI 센터 내에 "뮤직 AI"🎵팀을 설립하였습니다.* 이 팀에서는 가사와 악보로 가창 음성을 생성하는 SVS, 이미지나 코드 진행 등 특정 정보 값을 입력하면 멜로디를 생성하는 뮤직 제너레이션 등을 연구*하고 있는데요. 이처럼 최근 음악산업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은 음악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
|
|
📌 Chap1. 사운드 콘텐츠를 만드는 AI 기술
|
|
|
*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음의 높이, 길이, 음량의 세 종류의 데이터를 수치화한 인터페이스 |
|
|
📌 Chap2. 딥 러닝(Deep Learning)과 인공 신경망 |
|
|
대상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을 모델에 학습시킬 때 이를 '표현 학습'이라고 합니다. 이 개념 안에 두 층 이상의 신경망인 '딥 러닝'이 있는데요. 다시 말해, 딥 러닝은 '복잡한' 표현이 '단순한' 표현에 의해 표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
|
📌 Chap3. 딥 러닝 기술의 발전과 콘텐츠 |
|
|
딥 러닝 모델은 머신 러닝의 특징 학습과 표현 학습을 거치면서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인식 모델'*뿐 아니라 '생성 모델'**의 재발견을 통해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낸 것인데요.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콘텐츠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
* cognitive model,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모델 |
|
|
** generative model, 기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와 유사한 값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모델 |
|
|
딥 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콘텐츠 만들기💡
|
|
|
애정하는 새싹이🌱님, 안녕하세요!😍 "다양한 신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공연 사례"에 대해 알아 본 이번 주 콩!🙆♀️ 어떠셨나요? |
|
|
이대로 콩!🙆♀️을 끝내기 아쉽다면?😥 에듀코카 서포터즈 '에콩이' 5기가 강력 추천하는 콩!🙆♀️ 한 편 더 보고 가시는 건 어떠신가요?(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그럼 새싹이🌱님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면서, 우리 다음 주에 다시 만나요~ 제발~🙏 |
|
|
Copyrightⓒ 에듀코카 All rights reserved |
|
|
|